[ 고민해야할것 : 명확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

"💡 단순한 운동 추천보다 건강, 사용자의 취향, 재미를 고려한 운동 추천 앱 " → 웰니스

or

"💡 의지가 오래 못가는,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찾고싶은, 마음만 앞서다 아무것도 못하는, 다양한 경험에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운동 추천 앱 "

웰니스란 ‘단지 질병이 없거나 질병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선 신체·정신·환경의 조화로운 통합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적극적인 상태

직업적 웰니스를 구성하는 요소인 업무 만족과 여가활동은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WIW의 직업적 웰니스영역에 ‘업무에 대한 즐거움,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 일과 여가활동의 균형’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근로자의 웰니스를 타당성있게 측정할 수 있으리라 예측된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 일과 여가활동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웰니스 콘텐츠의 효과 (사업성?)

1. 사회적비용 절감

효과스마트미디어 기반의 웰니스 콘텐츠 글로벌 시장은 초기 진입단계에 있다. 점차 미래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성장 동력으로서 웰니스 콘텐츠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미디어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의 집중적인 연구개발 지원과 지원정책이 시행된다면 글로벌 웰니스 콘텐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처럼 웰니스 콘텐츠는 경제성뿐만 아니라 공익성 차원에서도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4].

사회․문화 복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웰니스 콘텐츠는 현대인들이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정서적 문제들로 야기되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 등이 병적 증세로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파급효과

스마트미디어 기반의 웰니스 콘텐츠 산업은 공익적·경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4].   - 경제적 차원 : 현대인의 정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웰니스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 툴(tool)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공익적 차원 : 현대인들의 정서적 문제(피로사회, 정서적 허기 등)를 해결함으로써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파급효과를 토대로 자생적인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웰니스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고용창출 효과 및 관련 기업의 매출증대와 아울러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웰니스 콘텐츠 산업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1. 웰니스 관련 기존 앱

다이어트 기반, ai 홈트 앱,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스마트웰니스', 운동하면 보상받는 '피트머니' 앱 등등 있다.